- 위치인문사회관 417호
- 전화031-670-5300
- 대표메일jinjinwon22@hknu.ac.kr
- 팩스031-670-5309
- 홈페이지전공 홈페이지 바로가기

교육목표
- 법학을 기반으로 융복합적으로 활용하는 창조적인 문제해결 역량을 함양한다.
- 글로벌 감각을 갖추고 소통 및 협업할 수 있는 역량을 함양한다.
- 소명의식을 기반으로 하는 직업윤리의식을 함양한다.
전공소개
우리 학과는 민주국가, 법치국가, 복지국가의 이상을 법을 통해 연구하고 이를 사회에 활성화시킬 인재를 양성하는 것을 목표로 1996년 설립되었다.
사회에서 법학은 모든 분야에 기본을 이루는 분야로서 헌법의 가치와 이상을 지속시킬 수 있는 법학교육과 올바른 인성을 갖춘 법학전문가 교육을 제시하는 소임을 다하고자 최선을 다할 것이다.
이를 위하여 법철학, 인권법 등의 기초법과 헌법, 민법, 형법의 기본 3법, 행정법, 상법, 민사소송법, 형사소송법, 헌법소송법 과목 외에 모의재판 등 실무관련 과목을 교육하고 있다.
변화된 사회에서 점차 중요성을 더해가고 있는 과학기술의 윤리와 안전성을 법률을 통해 확보할 수 있는 의료법과 컴퓨터 관련법, 인터넷 관련법 그리고 특허와 지적재산권을 전문 법학교육 분야로 연구 및 교육하고 있다.
졸업 후 진로
- 스쿨(변호사)이나 법무사, 공인노무사, 감정평가사, 변리사 등의 자격시험을 통해 법조계로 진출하거나 행정고시를 통해 공무원이 될 수 있다.
- 7급 또는 9급 공무원 시험을 통해 국가직공무원이나 지방직공무원이 되는 비율이 증가하고 있다. 경찰공무원이나 법원․검찰직공무원(법원․검찰사무관 등), 교정직공무원(교정관 등) 입법부(입법조사관)나 감사원 등에도 진출할 수 있다.
- 일반 회사(법무팀, 기획팀, 인사관련 부서, 감사실 등), 금융기관(은행, 증권회사 등)이나 언론사(사회부 기자 등) 등에도 폭넓게 진출할 수 있는데 이는 일반 회사 등에서 법적 지식을 필요로 하며, 법학과 출신들에 대해 합리적이고 논리적인 업무처리 능력을 기대하기 때문이다.
- 전문법 분야를 통해 정보 보안관련 회사나 특수 의료․제약회사의 법무 상담역 등 진출에도 경쟁력이 있다. 향후 법조개방에 대비해 해외법과 UN이나 EU과 같은 국제 조직관련법을 포함한 새로운 커리큘럼도 제공할 예정이다.